티스토리 뷰

반응형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에 대해 탐구해보려 합니다. 이 이론은 환경의 물리적 무질서가 사회적 무질서와 범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개념입니다. 즉, 소규모의 문제를 방치하면 더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한 건물의 깨진 유리창을 그대로 두면, 사람들은 그 지역이 방치되고 있다고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해 더 많은 창문이 깨지거나 범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깨진 유리창을 방치하면 결국 주변 환경은 더 악화될 수 밖에 없습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 상세내용]

1982년, 사회학자 제임스 Q. 윌슨과 조지 L. 켈링은 깨진 유리창 이론을 처음 소개했습니다. 이들은 작은 무질서가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쳐, 무질서와 범죄가 증가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주장했습니다.

 

이 이론은 특정 실험 과정을 통해 개발된 것이 아니라, 범죄학과 도시 사회학에 대한 그들의 관찰과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제시된 개념입니다. 이 이론은 1982년 윌슨과 켈링이 'The Atlantic Monthly'에 발표한 글을 통해 널리 알려졌습니다.

 

윌슨과 켈링은 이 글에서 환경적 요인이 범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습니다. 그들은 주변 환경의 무질서한 상태, 예를 들어 깨진 창문이 수리되지 않는 건물, 쓰레기가 널브러진 거리 등이 지역사회의 사회적 규범과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환경이 범죄 발생률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이론은 실험적 데이터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도시 지역에서의 경험적 관찰과 사례 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윌슨과 켈링은 소규모 무질서가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초기 단계에서의 작은 문제들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이론은 이후 범죄 예방과 도시 관리 전략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환경의 무질서는 사람들의 행동에 대한 사회적 규범을 약화시킨다."
- 필립 짐바르도(Philip George Zimbardo)

 

필립 짐바르도는 저명한 심리학자로, 특히 스탠퍼드 교도소 실험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이 말은 환경의 물리적 상태가 사람들의 인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무질서한 환경이 사람들의 사회적 규범을 약화시킬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관점은 깨진 유리창 이론과 잘 어울리며, 환경이 인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일상에서의 깨진 유리창 이론 적용]

깨진 유리창 이론은 도시 계획, 공공 정책, 범죄 예방 전략 등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작은 변화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식하고, 환경 관리와 개선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특히, 도시의 무질서와 범죄를 줄이기 위해, 공공 장소의 유지 관리에 집중하고 소규모 무질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불법 쓰레기 투기, 낙서, 공공 장소의 파손 등 소소한 문제들을 신속하게 처리함으로써 더 큰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 사회의 참여를 촉진하여 주민들이 자신들의 환경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하는 데 기여하도록 격려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러한 접근은 사회적 규범을 강화하고, 주민들의 안전감과 소속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나가 둘이 되고 셋이 되고 산이 됩니다.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사례]

수 없이 많은 사례가 있지만 저는 특정 한 지점에 쓰레기가 집중 투기되는 과정에서도 깨진 유리창 이론을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 마신 아이스아메리카노 플라스틱 컵을 한곳에 두면 다른 사람들도 그곳에는 쓰레기를 버려도 된다고 생각을 하게됩니다. 또한, '쓰레기가 그곳에 모여있었으니까'라는 심리적인 죄책감도 덜 수 있게 됩니다. 요즘에는 탕후루 꼬치가 유사한 사례가 될 수 있겠습니다. 아주 골치거리죠. 아래 가장 일반적인 사례 5가지를 공유드립니다.

 

  • 불법 쓰레기 투기: 한 지역에서 쓰레기가 무단으로 투기되면, 이는 추가적인 쓰레기 투기를 유발하고 지역의 무질서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낙서와 그래피티: 공공 장소의 낙서가 방치될수록, 그 지역이 관리되지 않고 있다는 인상을 줘서 추가 낙서를 유발하고 지역 이미지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방치된 건물: 건물이 오랫동안 방치되면 그 지역이 무시되고 있다는 인상을 줄 수 있으며, 범죄와 무질서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파손된 공공 시설: 공공 시설이 파손되고 그대로 방치되면, 이는 사회적 규범의 약화를 나타내고, 추가적인 공공 시설의 파손과 무질서를촉진할 수 있습니다.
  • 교통 규칙 무시: 한 지역에서 교통 규칙이 일관되게 무시되면, 이는 다른 운전자들에게도 규칙을 무시하는 행동을 허용하는 사회적 신호로 작용할 수 있으며, 교통사고 및 불안전한 도로 환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광대남의 광고심리학 이야기

 

반응형